부울경문화뉴스 관리자 기자 | 농촌진흥청은 10월 21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시험 재배지에서 국내 육성 골드키위 안정 생산을 위한 현장 평가회를 연다.
이번 행사는 중앙‧지방 연구진, 민간 생산자로 구성된 키위 연구협의체*와 함께 품질 좋은 골드키위 생산 방안을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.
최근 소비자들은 신맛이 강한 그린키위보다 당도가 높고 덜 신 골드키위를 선호한다. 이에 농촌진흥청은 2000년대 초반부터 ‘스위트골드’, ‘감황’ 등 총 11종의 골드키위를 개발, 보급해 왔다.
특히, 2015년 개발한 ‘감황’은 현재 42.9헥타르(ha)에서 재배 중이며, 2029년 70헥타르(ha)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보급에 힘쓰고 있다.
이번 평가회에서는 국내 육성 골드키위의 열매 수 관리 방법과 가지치기에 따른 환경 개선이 나무 생장과 열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한다.
가지(결과지)당 열매 수를 2~3개로 조절하면 열매 수를 4개로 조절할 때보다 상품 가치가 높은 열매 비율(상품과율)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.
한편, 여름 가지치기를 할 때, 열매 끝으로부터 잎을 하나도 남기지 않으면 가지치기 노동력을 3분의 1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지만, 잎 수 부족에 따른 광합성 산물 공급 감소로 품질이 떨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.
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전지혜 소장은 “이번 현장 평가회를 통해 연구진과 생산자가 함께 표준화된 골드키위 재배법을 마련할 계획”이라며 “개발된 기술이 현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.”라고 밝혔다.